공지사항 (Notice) | 방 명 록 (GuestBoard)

2009년 9월 17일 목요일

[자유] 토론 사례: 과학이란? (하)

* (사진은 맞대응 전략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Robert Axelrod 교수의 책 표지입니다.)
이 시리즈 글을 작성하면서 제가 걱정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쿤과 포퍼를 언급한 회원이 제가 맞대응으로 채택한 일부 강한 표현에 대해서 더 강한 맞대응을 해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저는 인터넷 토론에서 맞대응(Tit-fot-Tat) 전략을 주로 씁니다. 객관적 근거 없이 저를 과학에 무지한 사람으로 몰아부친 회원에게 보여준 반응을 보시면 아실 것입니다. 쿤과 포퍼를 언급한 회원에 대해서 조금 강한 표현을 쓴 것은 그 회원이 문제제기를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했다고 봤기 때문입니다. 쿤과 포퍼를 적절하게 언급했다면 상황은 다르게 전개되었을 것입니다. 처음에 넘겨 짚기한 것도 그렇고, 중간에 오히려 제 방식이 토론을 소모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태클을 건 것도 저로서는 맞대응 대상입니다.

다행히 우려했던 일은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반론 기회를 주기 위해서 이 글 시리즈를 제 블로그에 올린다고 인터넷 동호회에 안내했습니다. 그 회원이 블로그에 와서 관련 글을 읽고 동호회 게시판에 코멘트를 했는데, 더 강한 맞대응은 없었습니다. 쓸데없는 감정 겨루기가 되지 않도록 배려한 그 회원에게 감사합니다.

반면에 제삼자인 어떤 회원이 저에게 태클을 걸었습니다. 허락받지 않고 글을 펀 것은 아니냐, 그리고 당사자가 기분 나쁘게 여길 표현이 있던데 상대방을 존중하는 기본 매너를 지키는 것이 좋겠다는 태클이었습니다. 제 응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글을 퍼간 것이 아니고, 제 아마추어적 연구를 위해서 부분 인용을 했습니다. 다시 자세하게 살펴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제 학문의 자유도 존중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저로서는 기본 매너는 충분히 지켰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맞대응을 하는 경우에는 조금 강한 표현을 썼습니다. 상대방이 세게 나오는데 제가 유하게 나가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평소 소신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지적하시면 제가 어떤 근거와 의도에서 그런 표현을 사용했는지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
토론에서 저에게 먼저 부적절한 태클을 걸지 않으면 상대방에게 가능한 한 강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저는 노력하는 편입니다. 그것도 맞대응 전략의 속성입니다. 저에게 태클을 건 제삼자 회원은 제 기분이 먼저 나빠졌을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주면 좋겠습니다.

토론 중 의제 설정은 여러 번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론에 참여한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어느 쪽 의제 설정이 더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따라서 토론의 내용이 확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쿤과 포퍼를 언급한 회원도 일종의 의제 설정을 시도한 것이라고 저는 봅니다. 제가 설정한 의제에 따라와야 하는 법은 없죠. 제 의도는 이공계 분들이 자연과학에서 절대적으로 옳은 이론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아닌지를 들어보는 것이었지 복잡한 과학철학적 논쟁을 하자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쿤과 포퍼로 인하여 토론이 과도하게 열리는 것을 나름대로 정당하게 막으려고 노력했던 것입니다. 누구 의제 설정이 옳고 그른지는 알 수 없다고 봅니다. 각자 옳다고 생각하겠죠.

천동설이나 플로지스톤 이론이 폐기된 혹은 반증된?(falsified?) 과학 이론이라는 합의가 있더라도 제가 처음에 던진 질문의 궁극적인 답이 당연히 될 수는 없죠. 그러나 보조자료는 됩니다. 제가 소개하지 않았지만 토론 중에 "절대적 진리"에 대한 여러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 의견들을 들었고, 제가 추구했던 보조자료도 구한 셈이니 저로서는 그 정도면 만족합니다. 다음 의견이 이번 토론을 일리 있게 요약한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

"... 과학자들 누구도 '절대적 진리'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과학자들이 절대적 진리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말 역시 상당한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따져 볼 것도 없이 과학자들 중에 스스로 절대적 진리를 추구한다고 하는 이도 분명 존재할 것입니다. ..."
**
토론 중에 상대방이 잘못 알고 있다는 확신이 들어도, 될수록 상대방에게 "네가 틀렸다."라는 식으로 직접 지적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신이 틀렸을 가능성을 항상 열어놓는 것이 좋죠. 인간은 신은 아닙니다. 예컨대 행태경제학을 언급한 제 글에 대해서 어떤 회원은 행태주의 이론은 이미 유행이 지나간 것이라는 의견을 냈습니다. 다른 회원은 다음과 같이 그 의견에 대해서 평했습니다.
"... 말씀하신 '행태주의 이론'이 '행태경제학(behavioral econ)'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오래전에 한물갔다는 말로 봐서는 행태경제학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네요."
상대방을 존중하는, 바람직한 자유주의적 자세입니다. 어투도 단정적이지 않습니다. 앞에서 예로 든, "과학이라는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저에게 강변한 회원의 태도와는 판이합니다. 제가 올린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치학에서 행태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심리학의 행동주의와 구분하기 위한 측면이 큽니다. 경제학에서 행태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저는 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과문하기는 합니다. 행동경제학 혹은 행태경제학이라고 하더군요. 정치학 행태주의와 행태경제학이 연관은 있지만, 내용은 상당히 다른 것으로 저도 알고 있습니다."
제 의견에서도 토론 상대방이 틀렸거나 오해했다고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아는 정보를 설명했을 뿐입니다. 상대방을 존중하기 때문에 그랬습니다. 처음 회원은 Behaviorism을 행태주의로 지칭하는 보충 의견을 올렸습니다. Behaviorism은 행동주의, Behavioralism을 행태주의로 흔히 번역하는 것으로 저는 알고 있어서 관련 정보를 다음과 같이 다시 흘렸습니다.

"정치학에서는 심리학의 Behaviorism을 행동주의, 정치학의 Behavioralism을 행태주의로 흔히 번역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Behaviorism "Behaviorism or Behaviourism, also called the learning perspective (where any physical action is a behavior) is a philosophy of psychology based on the proposition that all things which organisms do including acting, thinking and feeling can and should be regarded as behaviors."
http://en.wikipedia.org/wiki/Behavioralism "Behavioralism (not to be confused with the learning theory, behaviorism) is an approach in political science which seeks to provide an objective, quantified approach to explaining and predicting political behavior."
http://www.kyoboacademy.co.kr/academy/product/bookInfo.laf?barcode=9788918031552&ejkGb=KOR 『정치학 이해의 길잡이』시리즈 2권《정치이론과 방법론》편. 1. 행태주의와 경험과학 연구 : 전제, 영역과 설계 - 김웅진"
제가 이렇게 간접적인 방법을 쓴 것은 미미한 감정적 태클이라도 토론에서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뭔가 필요한 정보를 그 회원이 얻었다면 그것으로 충분한 것이죠. 토론 상대방을 공개적인 장소에서 먼저 직접적으로 "깔" 필요가 없습니다.

토론이나 의견교환을 할 때는 표현에 조심하는 것이 좋다는 평범한, 그렇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 상식을 말씀드리면서 이번 시리즈를 마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용 부분 출처:
* http://kids.kornet.net/cgi-bin/Boardlist?Boardname=garbages&Position=Last
** http://kids.kornet.net/cgi-bin/Boardlist?Boardname=Politics&Position=Last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