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긴 자가 항상 옳은 것은 아니라는 것은 상식이다. 마찬가지로 졌다고 해서 항상 틀렸다고 얘기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이런 간단한 상식 혹은 진리가 현실에서 무시되는 경우를 볼 때 안타깝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옳고 그름이라는 잣대와 승패의 잣대는 다르다. 또한, 선호의 잣대와도 다르다.
대통령 권력은 권력으로, 지역주의 완화를 위한 선거구제 개선은 개선으로 구분하는 방법도 있다. 그것이 오히려 더 올바른 길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정치적 지역주의 극복의 중요성에 대한 대통령의 문제의식은 충분히 공감하지만, 승부사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부자연스럽게 올리려는 대통령의 전략이 너무 안스럽다. (그 전략은 이미 2003년 2월 당선자였던 인수위원회 시절에 암시한 바 있다.) 지역구도 완화를 위한 선거구제 개편 자체가 대의명분이므로 그 정치적 의제 자체에 국민의 적극적인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데 왜 그런 무리수를 두는지, 어렴풋이 이해는 되지만 그래도 어색해 보인다.
대통령 주위에 정치 선생이 몇 명 있어야 된다는 참여정부 초기의 내 진단이 다시 생각나는 시점이다. 아직 2년 반이나 남아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