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Notice) | 방 명 록 (GuestBoard)

2010년 9월 7일 화요일

[단상] 4대 강 사업 찬반, 역사 기록에 남기기

(서울대 이준구 교수님 게시판, 2010/07/13, 사진은 서울대 환경대학원 김정욱 교수님의 신간입니다.)

현 정부가 세종시 사업을 수정하려고 끝까지 용을 썼죠. 국회 상임위에서 부결된 수정안을 여당/청와대가 무리하게 본회의에 부쳤을 때, "역사 기록에 남기자!"라는 주장을 제시했었습니다.

4대 강 사업이야말로 역사 기록에 남기기를 해주면 좋겠습니다. 야당이 4대 강 사업 중단/재검토 특별법안을 제출하는 것이죠. 상임위에서 부결되면, 의원 30명의 서명을 받아서 본회의에 올리는 것입니다. 어떤 의원이 4대 강 사업에 찬성했는지, 반대했는지 역사 기록에 남기는 것은 어떨까요?

2010년 9월 6일 월요일

[그림] Frank Stella's Maxon's Island

Stanford Cantor Arts Center에서 감상한 그림 Maxon's Island입니다.

2010년 9월 5일 일요일

[사진] Arizona 풍경 (2004년)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단상] 고등학생의 진로 선택에 대해서

(서울대 이준구 교수님 게시판, 2010/09/01)

우리나라 대입제도가 복잡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학생을 선발하는지 저는 잘 모릅니다. 이곳에 글을 올리는 고등학생이 가진 문제의식이나 고민도 제가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때에는 그냥 담담하게 제 경험을 풀어놓아서 읽는 분이 뭔가 얻어가는 것이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고등학생일 때 막연히 외교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요즘도 그렇지만 새로운 것을 구경하는 것을 그때도 매우 좋아했습니다. 외교관이 되면 비행기를 타고 외국으로 가서 우리나라에서 겪어보지 못하는 것을 많이 접할 수 있겠다는 소박한 생각이었죠. 그래서 서울대 사회계열에 입학했고, 학부 2학년 때는 초지일관하여 외교학과에 진학했습니다.

그런데 외교학과가 외무고시 준비를 시켜주는 곳은 아니었습니다. 외교관이 되려면 따로 시험공부를 해야 했습니다. 1980년대 초반의 학교 분위기는 관료가 되는 것이 과연 잘하는 짓’인가를 고민할 정도였습니다. 외무고시를 준비하는 과정이 ‘무서워’ 보이기도 하고, 군부 권위주의 정권의 관료가 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합리화도 하는 등, 이런저런 이유를 생각하면서 외무고시는 포기했습니다. 어영부영하다 외교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했고, 미국 대학교 박사과정에 유학도 갔습니다. 학문의 길을 걸었던 것이죠.

외교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있느냐 없느냐는 논란이 있을 정도로 그 범위가 좁습니다. 외교 혹은 외교술이라는 표현은 흔히 쓰죠. 그런데 외국에서도 외교학과 혹은 외교학에 준하는 표현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외교학과 학생들은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외교학과’에서 ‘국제관계’(외교학과 영문 이름: 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를 다루는 ‘국제정치학’을 공부한다고 했죠.^^

최근에 정치학과와 외교학과가 합쳤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정말 잘 결정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국제정치학은 정치학의 한 분과입니다. 국제정치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특히 정치학 전반을 더 잘 알 필요가 있습니다. 다른 사회과학 분야도 기본 지식을 더 많이 갖추면 좋죠. 심지어 자연과학적/공학적 지식이 국제정치학을 크게 도울 수도 있습니다. 핵무기의 국제정치학을 상상해 보시면 금방 감이 올 겁니다.

학부에서 3년, 석사과정에서 2년 반을 외교학 혹은 국제정치학을 공부하다 미국 대학교의 정치학 박사과정에 들어가니 좁혀져 있던 범위가 거꾸로 넓어졌습니다. 좁게 시작한 것이 별로 바람직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우리나라에서 공부할 기회가 없었던 ‘합리적 선택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도 소개받았습니다. 오히려 그 분야가 제 흥미를 더 끌었습니다. 그래서 박사학위 논문 주제는 국제정치이지만, 방법론은 경제학의 게임이론을 썼습니다.

세상에는 제가 모르는 것이 매우 많다는 것을 제 공부 경험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무엇이 재미있는지, 무엇이 제 취향과 맞지 않는지도 잘 모를 때가 있습니다. 특히, 접해보지 않으면 거의 모른다고 봐야겠죠. 사람이 잘 바뀌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바뀔 수 있는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공부의 선호와 취향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선택 영역을 좁히면 좁힐수록 모르는 부분이 넓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효율도 고려하고, 현실의 벽도 참작하면 A부터 Z까지 모두 경험할 수는 없겠죠. 과유불급(過猶不及)의 잣대를 활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 선생님께서 항상 강조하시듯이 학문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고등학생일 때부터 경제학의 세부 분야를 파고들어서 더 훌륭한 학생이나 학자가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선진 교육계의 관행을 참조하면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대학도 교양 교육(Liberal Education)을 매우 중시하죠. 여기서 Liberal은 결국 다양한 세계를 만남을 뜻합니다.

지금까지 드린 말씀은 제 경험에 따른 기본에 대한 것입니다. 그 기본을 바탕에 두면서 현실 입시제도의 (별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는) 요구 사항에 적절히 대처하면 될 것 같습니다. 주어진 입시 환경이 일시에 바뀌지는 않을 테니까요.

(참조)

스탠포드 대학교의 학부 일반 전형에서 요구하는 에세이 문항을 보면 특정 학문의 세부 분야에 대한 지식이나 구체적 진로 계획을 전혀 요구하지 않습니다. 만약 우리 대입 전형이 그런 것을 필수 요건으로 따진다면 저로서는 매우 엉뚱하다고 생각합니다.
http://www.stanford.edu/dept/uga/application/freshman/essays.html